728x90 컴퓨터 사이언스141 운영체제 8 - (Main memory management) 해당 정리는 youtube HPC Lab. KOREATECH의 OS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강의 자료는 https://hpclab.tistory.com/1?category=887083 해당 링크에 있습니다. 목차메모리메모리 계층구조Address Bindingcompile time bindingLoad time bindingRun time bindingDynamic LoadingMemory AllocationContinuous Memory Allocation(연속할당)Uni-programmingMulti-programmingCoalescing holes(공간 통합)Storage compaction(메모리 압축)메모리메모리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이렇게 4가지가 존재한다.레지스.. 2024. 7. 22. 운영체제 7 - (Deadlock Resolution) 해당 정리는 youtube HPC Lab. KOREATECH의 OS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강의 자료는 https://hpclab.tistory.com/1?category=887083 해당 링크에 있습니다. 목차Deadlock의 개념DeadlockResource(자원)선점 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할당 단위에 따른 분류동시사용 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재사용 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Deadlock 발생 예Deadlock 발생 필요조건Deadlock 해결방법Deadlock preventionExclusive use of resource 조건 제거Non-preemptible resource 조건 제거Hold and wait 조건 제거(Total allocation)Circular wawit 조건 제거Deadl.. 2024. 7. 18. 운영체제 6 - (Process Synchronization & Mutual Exclusion) 해당 정리는 youtube HPC Lab. KOREATECH의 OS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강의 자료는 https://hpclab.tistory.com/1?category=887083 해당 링크에 있습니다.목차동기화(Synchronization)기계어 명령(Machine Instruction)의 특성상호배체(Mutual exclusion)ME Primitives version 1ME Primitives version 2ME Primitives version 3Mutual Exclusion SolutionsSW solutionsDekker’s AlgorithmPeterson’s AlgorithmDijkstra’s AlgorithmSW solution의 문제점HW solutionTASHW soluti.. 2024. 7. 15. 운영체제 5 - (Process Scheduling) 해당 정리는 youtube HPC Lab. KOREATECH의 OS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강의 자료는 https://hpclab.tistory.com/1?category=887083 해당 링크에 있습니다. 목차스케줄링 목적스케줄링 기준 및 단계스케줄링 정책기본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스케줄링 목적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을 할당할 프로세스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것을 스케줄링이라고 한다.자원을 관리하는 것은 2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데 시간 분할 관리, 공간 분할 관리 이렇게 2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시간 분할 관리하나의 자원을 여러 스레드들이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있다. 프로세서는 한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 2024. 7. 14. 운영체제 - 4 (Thread management) 해당 정리는 youtube HPC Lab. KOREATECH의 OS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이다.강의 자료는 https://hpclab.tistory.com/1?category=887083 해당 링크에 있다. 목차스레드(Thread) 개념스레드의 구현스레드(Thread) 개념스레드의 개념을 공부하려면 프로세스에 대해 복습하는 시간을 가져보자.프로세스는 지원을 할당받고 자원을 제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여기서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이 스레드(Thread)이다.즉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가지고,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여러 개의 스레드가 존재한다.위 그림처럼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 여러 스레드는 같은 자원을 공유한다. (힙, 데이터, 코드)즉 메모리 관점에서 각각의 스레드는 독립적인 작업영역.. 2024. 7. 11. 운영체제 - 3 (Process Management) 해당 정리는 youtube HPC Lab. KOREATECH의 OS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이다.강의 자료는 https://hpclab.tistory.com/1?category=887083 해당 링크에 있다. 목차프로세스 개념PCB(프로세스 관리 블록)프로세스 상태 변화인터럽트Context switching프로세스 vs Job작업(job)컴퓨터 시스템에 실행 요청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즉 실행할 프로그램 + 데이터로 아직 메모리에 올라와 있지 않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프로세스(process)시스템에 등록된 작업을 의미한다(시스템 = 커널)프로세스가 시스템의 등록되는 이유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때문이다.즉, 프로세스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실행중인 프로그램으로 정의할 수 있다... 2024. 7. 11. 운영체제 - 2 (운영체제 개요) 해당 정리는 youtube HPC Lab. KOREATECH의 OS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이다.강의 자료는 https://hpclab.tistory.com/1?category=887083 해당 링크에 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서 사용자 or 응용 프로그램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운영체제의 역할은 크게 4가지가 있다.User Interface(편리성)Resource management(효율성)Process and Thread managementSystem management(시스템 보호)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자위 그림은 컴퓨터 시스템 구성의 그림이다.OS는 (System call Interface , Kernel)을 의미한다.OS는 Application .. 2024. 7. 10. 운영체제 - 1 컴퓨터 시스템 개요 해당 정리는 youtube HPC Lab. KOREATECH의 OS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이다.강의 자료는 https://hpclab.tistory.com/1?category=887083 해당 링크에 있다.운영체제를 공부하기 전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종류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컴퓨터 하드웨어는 프로세서, 메모리, 주변장치 이렇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프로세서컴퓨터 두뇌라고 생각하면 된다.(중앙처리 장치)컴퓨터의 모든 장치와 동작을 제어하고 연산을 수행한다.프로세서(CPU)에는 제어 장치, 레지스터, 연산장치가 있고 레지스터에 대해서 알아보자레지스터프로세서가 사용할 때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공간이다. 프로세서 내에 있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가장 빠른 메모리이다.이러한 레지스터를 .. 2024. 7. 8. 스택, 큐, 덱 정리 스택(Stack)스택이란 젠가 통에서 젠가 블록을 뺄 때처럼 입구와 출구가 같은 자료구조를 스택(stack)이라고 한다.이러한 구조를 후입선출 구조(LIFO : Last In First Out)라고 한다. Stack에는 5가지 함수가 사용된다. push(x) : x 를 스택에 넣는다.size() : 스택에 쌓인 블록의 개수를 반환한다.empty() : 비어있다면 true, 비어있지 않다면 false를 반환한다.top() : stack에 블럭을 제거하지 않고 최상단의 값을 반환한다.pop() : 맨 위에 숫자를 반환한다( 최상단의 값이 제거된다)stack과 배열의 관계배열의 크기가 무한하다고 가정했을 때, 배열에 삽입과 삭제 연산이 발생하는 장소를 맨 뒤에만 생긴다는 가정했을 때, 배열을 스택처럼 활용할 .. 2024. 4. 27. JWT의 정의와 사용하는 이유 JWT란JWT 정의💡 JWT는 Json Web Token의 약자로 웹 표준 RFC 7519로 정의된, JSON 객체를 사용해 가볍게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토큰 형식이다. 해당 토큰은 쉽게 읽을 수 있고 자체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정보의 수정을 방지하기 위해 서명도 가능하다.JWT 구조JWT는 3가지 구조로 되어있다.Header(헤더)Payload(페이로드)Signature(서명)Header💡 헤더는 토큰의 타입과 사용된 알고리즘을 정의하는 JSON 객체이다. 토큰의 타입 : 일반적으로 JWT 알고리즘 : HMAC SHA256, RSA 등 예시{ "alg" : "HS256", "typ" : "JWT"}위 정보를 해석→ HS256 알고리즘으로 되어있는 JT.. 2024. 4. 26. 12세 이하인 여자 환자 목록 출력하기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220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SELECT PT_NAME, PT_NO, GEND_CD, AGE, IFNULL(TLNO,'NONE') AS TLNO FROM PATIENT WHERE AGE 2024. 4. 24. 조건에 맞는 도서 리스트 출력하기 - 프로그래머스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485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SELECT BOOK_ID, DATE_FORMAT(PUBLISHED_DATE, '%Y-%m-%d') AS PUBLISHED_DATE FROM BOOK WHERE YEAR(PUBLISHED_DATE) = '2021' && CATEGORY = '인문'; 2021년에 출판된 책을 원하기 때문에 YEAR() 함수를 사용해서 WHRER문을 사용한다. 현재 PUBLISHD_DATE는 시간까지 나와있는 DA.. 2024. 4. 24. 이전 1 2 3 4 ··· 1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