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SPRING/HTTP 웹 기본 지식

HTTP 웹 기본 지식 - 4일차(HTTP 메서드 활용)

눈오는1월 2023. 8. 23. 14:25
728x90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가 있다.

  • 쿼리 파라미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
  • 메시지 바디를 통한 데이터 전송

쿼리 파라미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메서드 GET사용할 때 쓰인다.

메시지 바디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GET을 제외한 POST, PUT, PATCH에서 쓰인다.

 

조회에는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정적 데이터 조회 하나는 동적 데이터 조회가 있다.

 

정적 데이터는 쿼리 파라미터 없이 리소스 경로를 단순하게 조회하는데 쓰이고

동적 데이터 쿼리는  조회 조건을 줄여주는 필터 나 조회 결과를 정렬하는 정렬 주건에 주요 사용됨

 

프론트에서 값을 보낼 때 HTML Form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HTML Form은 POST, GET 메소드를 지원한다 ( 나머지는 지원 안 함)

만약 어떤 값을 저장하려고 값을 보내는데 이때는 당연히 POST로 보내야 함 ( GET )으로 보내면 안 됨 GET은 오로지 조회만!

HTML Form에서 값을 삭제하거나 할 때는 리소스에 동적인 의미의 단어를 붙여서 사용한다 

ex) 회원 삭제 /member/{id}/delete

보통 리소스에서는 명사를 사용하지만, 필요한 경우 위 예시처럼 동사를 사용해서 쓰일 수 있음( 다른 기능을 넣을 때)

 

HTTP API 데이터 전송은

서버와 서버의 데이터 전송이나 앱 클라이언트 웹 클라이언트(react, vuejs)에서 사용되며 PUT, PATCH  메서드도 사용 가능하다(당연히 POST, GET 도 사용 가능함)

 

보통 요즘은 다 Json 형식(key value 타입)으로 값을 보낸다.

 

 

 

 

728x90